International Relations

Session 01-II. Neustadt and May Ch. 1 Notes

Glaukopis 2017. 8. 9. 01:32

II. Chapter 1. in Neustadt and May (Thinking in Time): How might you improve decision-making?

- 역사 활용의 기술 제1장 핵심내용 일부 발췌 및 노트 정리


1. 저자 서문 & 역자 서문

  • Three assumptions
    • 정부의 권력을 사용함에 있어서 특수한 사정들은 중요하다. 이념, 시대정신, 사회의 일반적 세력 또는 경제는 특정의 장소에서 특정의 날에 특정의 수단을 활용하는 특정의 사람을 통하여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 가운데 어느 하나라도 변화한다면 그 결과는 달라질 것이다.
    • 업무 수행에 있어서 미미한 개선일지라도 추구할 가치가 있다.
    • 잠시의 심사숙고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신중함은 완벽한 해법을 이끈다.
  • 기업이나 국가를 운영하는 CEO나 정치지도자의 결정에는 그 영향의 범위가 다수의 운명을 포괄한다는 점에서 지혜와 인내심이 허용하는 최대한의 신중함이 수반되어야 한다.
  • 배반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서는 '역사' 활용
    • 역사: 결정을 요하는 '사안의 역사'와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actor의 역사'

2. 제1장: 성공 사례

  • 성공과 실패 사례를 통해 우리는 방법론 (methodology)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것을 일상화하면 적어도 자주 범하는 실수를 피할 수 있다.
  • 현 상황을 논의할 때, 사람들은 '유추'를 통해 과거와 연계시킨다. 즉, 낯선 것에 친숙함을 부여한다. 이는 어떤 주장의 옹호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 어떤 경우든 위기의 신중한 지연은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한 여러가지 방안과 함께 역사에 의존했거나 혹은 최소한 역사에의 의존을 통해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
  • 일반적 관행과 다른 Excomm의 두 번째 특징은 이슈의 역사, 즉 그 이슈의 근원 및 맥락에 주의를 기울였다는 점이다.
  • 따라서 쿠바의 미사일 배치는 세력 균형에 실제 영향을 미친다. → 상징성 이상의 의미
  • "훌륭한 판단은 보통 경험의 결과다. 그러나 경험은 종종 나쁜 판단의 결과다."
  • 그러나 위기가 지속됨에 따라, 케네디와 참모진들은 소련 정부를 개개의 행위자들로 구성된 집단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 톰슨의 권고로, Excomm members는 미국의 조치에 자극 받은 흐루시초프가 냉정한 이성적 추론보다는 돌출 행동을 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 만약 그들이 이 시점까지 흐루시초프를 나름의 개인사를 가진 한 개인으로 생각하지 않았다면, 아마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것이다.
  • 조직행동에서 역사패턴을 고려했다는 점
    • p. 22: 정책결정자들은 의식적이든 아니든 항상 과거의 경험을 활용하기 때문에...
  • 그들 앞에 놓인 이슈들을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파악했다. 즉, 위기 개시시점부터 지속적으로 불명확한 미래를 연장해서 문제를 파악했다... 사안을 심사숙고할수록... 결과에 비중을 더... 보다 어려운 문제로 전환했다.
  • 미사일 위기는 우연하게 성공한 사례인지 모른다... 강도높은 집중력 + 비밀 유지 + 일치감 → 역사 의존 = 위기관리